소뇌의 운동학습 모델에 관한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9 16:11
본문
Download : 소뇌의 운동학습 모델에 관한 연구.hwp
,공학기술,레포트
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장차 쥐를 대상으로 자동화된 운동학습 집단과 비운동학습 집단의 소뇌 퍼킨지 세포의 신경연접 효율성을 비교함으로써 이 문제에 접근하려 한다. 조건자극이 제시되는 5초 이내에 반대편으로 넘어가면 성공으로 기록되고 5초 이내에 반대편으로 넘어가지 못하면 실패로 기록된다된다. 본 연구의 피험동물은 태어난 지 4주가 되는 Sprague-Dawley계 흰쥐를 대상으로 했다.
레포트/공학기술
소뇌의 운동학습 모델에 관한 연구
설명






소뇌의 운동학습 모델에 관한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소뇌의 자동화된 운동학습 모델을 개발하는 것이다.
주요어 : 자동화된 운동학습, 소뇌, 고전적 조건화, 생체 부호화
Ⅰ. 서 론
지금까지 많은 연구에서 소뇌가 운동학습에 관여한다는 사실이 입증되었다. 하지만 대부분의 연구가 눈동자 움직임, 눈꺼풀 움직임, 손끝이나 발끝과 같은 소근…(drop)
소뇌의 운동학습 모델에 관한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소뇌의운동학습모델에 , 소뇌의 운동학습 모델에 관한 연구공학기술레포트 ,
Download : 소뇌의 운동학습 모델에 관한 연구.hwp( 16 )
소뇌의운동학습모델에
순서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절차
3. reference(자료)처리방법
Ⅲ. 연구 결과
1. 운동학습 1차 experiment(실험)
2. 운동학습 2차 experiment(실험)
3. 전기생리학적 experiment(실험)
Ⅳ. 논 의
Ⅴ. conclusion(결론) 및 제언
출처
초 록
임재형. 소뇌의 운동학습 모델에 관한 연구. 운동과학, 2002. 소뇌는 불수의적인 운동, 특히 부드럽고 느린 동작의 에러 탐지기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자동화된 운동학습에 대한 소뇌의 역할에 마주향하여 는 검증되지 않았다. 운동학습(고전적 조건화로 유발된 점프 운동학습)은 1일 50시행으로 25일간 시행했다. 이 문제에 접근하기에 앞서 반드시 소뇌 퍼킨지 세포에 자동화된 운동학습이 보다 잘 생체부호화할 수 있는 운동학습 모델 개발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결과는 운동학습 집단에서 약 7일간에 습득한 점프 운동학습이 장기간 유지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고전적 조건화에 의한 7일간의 점프운동학습 모델이 소뇌의 자동화된 운동학습 연구에 유용한 모델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된다. 연구결과, 운동학습 성공률은 하루가 지난 후부터 증가하기 처음 하여 일주일 동안 그 수준으로 계속 유지되는 안정된 학습률을 보였으며, 이 성적은 그 이후로도 운동학습 기간의 마지막 날인 25일 째와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고 유지되었다. 매 시행은 5초간의 조건자극(7.5W)에 이어 5초간의 무조건자극(0.1mA의 발바닥 전기자극)이 주어지며 자극간 간격은 30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