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조정쟁의의 대상사항 / 조정쟁의의 대상사항 Ⅰ. 서 1. 노동쟁의 의의 의 노동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2 04:47
본문
Download : 조정쟁의의 대상사항.hwp
(2) 법외노조 (헌법상 노조) 노동조합의 실질적 요건은 갖추었으나 제도상의 이유로 설립신고절차를 마치지 못한 법외 노동조합이라면 노동쟁의 당사자가 될 수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2. 노동쟁의의 요건 (1) 근로조건의 결정 노조법 제2조제5호에서는 노동쟁의를 노동관계당사자간에 임금·근로시간·복지·해고 기타 대우 등 근로조건의 결정에 관한 사항이어야 한다. 3. 개정법의 특색 종래 구법에서는 노동쟁의의 대상사항에 대하여 명확한 견해가 없어 견해의 대립이 있었으나 현행법에서는 이에 대하여 명확한 견해를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특색을 찾을 수 있다. Ⅱ. 노동쟁의의 당사자 및 요건 1. 노동쟁의의 당사자 (1) 노동조합과 사용자 또는 사용자 단체 구 노동쟁의조정법에서는 노동쟁의 당사자를 노동관계당사자라고만 하였기 때문에 노동관계 당사자의 범위에 노동조합뿐만 아니라 일시적인 근로자단체나 쟁의단 등도 포함된다고 해석하는 것이 통설의 견해였다. 그러나 현행법에서는 노동쟁의의 당사자를 `노동조합과 사용자 또는 사용자단체`로 명시하고 있으므로 쟁의단 등을 노동쟁의의 당사자로 포함시키기는 어렵다 할 것이다.
설명
[보고서] 조정쟁의의 대상사항 / 조정쟁의의 대상사항 Ⅰ. 서 1. 노동쟁의 의의 의 노동
조정쟁의의 대상사항 Ⅰ. 서 1. 노동쟁의의 의의 노동쟁의란 노동조합과 ...
조정쟁의의 대상사항 Ⅰ. 서 1. 노동쟁의의 의의 노동쟁의란 노동조합과 사용자 또는 사용자단체간에 임금·근로시간·복지·해고 기타 대우 등 근로조건의 결정에 관한 주장의 불일치로 인하여 발생한 분쟁상태를 말한다. 2. 논의의 당위성 이러한 노동쟁의는 헌법상 근로자에게 보장하고 있는 단체행동권을 구체화한 것으로서 노동쟁의의 범위와 대상사항에 대하여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하겠다. (2) 주장의 불일치 ①의의 `주장의 불일치`의 의미에 관련되어는 법에서 `당사자간 합의를 위한 노력을 계속하여도 더 이상 자주적 교섭에 의한 합의의 여지가 없는 경우`를 말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②합의의 노력정도 현행법에서는 그 기준이 모호하여 자칫...





레포트 조정쟁의의 대상사항 / 조정쟁의의 대상사항 Ⅰ. 서 1. 노동쟁의 의의 의 노동
조정쟁의의 대상사항 Ⅰ. 서 1. 노동쟁의의 의의 노동쟁의란 노동조합과 ...
순서
레포트 > 기타
Download : 조정쟁의의 대상사항.hwp( 91 )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