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치료]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근위축성 측색 경화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7 11:28
본문
Download : [물리치료] Amyotrophic L.hwp
이러한 근력약화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온몸으로 퍼지게 된다 ALS의 발병은 특발성으로 대부분의 환자들은 신발신기, 계단 오르기와 같은 기능적 활동에 어려움을 느끼기 전까지는 초기 근력의 약화를 인식하지 못하며 또한 다른 방법으로 대체해 질병이 진행하고 있음을 잘 모른다.
미국에서 Lou Gehrig병으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ALS는 상위운동신경과 하위운동신경을 침범하는 퇴행성 질환이다.
물리치료,Amyotrophic Lateral Sclerosis,근위축성 측색 경화증
이학적 검사를 하면 환자가 호소하는 증상보다 더 많은 근력약화와 근위축을 발견하게 된다 그러므로 근력약화를 환자가 느끼게 되어 검사를 하게 되면 약화된 부위의 운동신경원들은 약 80%가 이미 소실되어 있다. 전형적인 EMG연구에서 자발적인 fibillation과 fasciculation이 보인다.
또다른 증상으로 환자들은 근력약화를 동반하는 특정한 근육들에 발생하는 근경련(cramp)이다.
1.Background Information
전기생리학적 연구는 말초신경병 또는 길레리안바레 증후군 없이 하위 운동신경원을 침범한 병변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환자들중 90%에서 나타나는 가장 초기 증상은 횡문근에 나타나는 근력약화이다.
[물리치료]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근위축성 측색 경화증]
1.Background Information 미국에서 Lou Gehrig병으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ALS는 상위운동신경과 하위운동신경을 침범하는 퇴행성 질환이다. 척수 전각세포와 하부 뇌간에 위치한 뇌신경핵의 막대한 소실은 근위축과 근력약화를 초래한다(amyotrophic). 운동 피질에 있는 Betz cell의 퇴행에 의한 탈수초성 변형과 gliosis는 상위운동신경 증후군을 초래한다(lateral sclerosis).
다.
레포트 > 의학계열
환자들중 70%정도가 creatine phosphokinase level이 상승되어 있다 할지라도 ALS를 진단하는 확실한 검사방법은 없다.
ALS의 발병패턴은 매우 다양하며 가장 먼저 침범된 부위에 따라 몇 가지의 패턴이 있다. 신경전달 속도는 거의 정상이다.
![[물리치료] Amyotrophic L-8000_01.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9/%5B%EB%AC%BC%EB%A6%AC%EC%B9%98%EB%A3%8C%5D%20Amyotrophic%20L-8000_01.jpg)
![[물리치료] Amyotrophic L-8000_02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9/%5B%EB%AC%BC%EB%A6%AC%EC%B9%98%EB%A3%8C%5D%20Amyotrophic%20L-8000_02_.jpg)
![[물리치료] Amyotrophic L-8000_03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9/%5B%EB%AC%BC%EB%A6%AC%EC%B9%98%EB%A3%8C%5D%20Amyotrophic%20L-8000_03_.jpg)
![[물리치료] Amyotrophic L-8000_04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9/%5B%EB%AC%BC%EB%A6%AC%EC%B9%98%EB%A3%8C%5D%20Amyotrophic%20L-8000_04_.jpg)
![[물리치료] Amyotrophic L-8000_05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9/%5B%EB%AC%BC%EB%A6%AC%EC%B9%98%EB%A3%8C%5D%20Amyotrophic%20L-8000_05_.jpg)
척수 전각세포와 하부 뇌간에 위치한 뇌신경핵의 막대한 소실은 근위축과 근력약화를 초래한다(amyotrophic). 운동 피질에 있는 Betz cell의 퇴행에 의한 탈수초성 변형과 gliosis는 상위운동신경 증후군을 초래한다(lateral sclerosis).
ALS에서 근위축과 근력약화가 가장 특징적일지라도 80%이상의 환자들은 pyramidal tract dysfunction을 보여준다(hyperreflexia, spasticity, Babinsky and Hoffman reflexs). 일부의 경우에 상위운동신경 손상의 증후는 임상적으로 보여지지 않는 경우도 있다. 즉, 운동신경원의 80%정도가 소실되어야 환자는 비로소 근력이 약화되었음을 알게되는 것이다.
Download : [물리치료] Amyotrophic L.hwp( 44 )
순서
설명
진단은 임상에서 나타나는 특징과 증상들을 확인하고 내려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