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사 고려사절요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6 11:44
본문
Download : 고려사 고려사절요.hwp
한편, 公式(공식)적인 인적구성과 별도로 실질적으로 두책의 편찬에 큰 影響을 끼친 인물에는 차이가 있었다.
두 사서는 전근대의 관찬사서로서 모두 지배층을 중심으로 역사(歷史)를 서술하였고, 피지배층의 동향은 역사(歷史)서술에서 거의 배제되었다.
2. 편찬자
『고려사』의 편찬자들은 김종서와 정인지가 지춘추관사(知春秋館事)인 것을 비롯하여 모두 춘추관직을 가지고 춘추관을 담당기구로 하는 조직을 구성하였다. 이런 사실은 두 책의 성격에 적지 않은 影響을 줄 수 있다아 그래서 두 책에는 그 만큼 공통적인 기반도 존재한다. 유교적 문치주의 이념에 따라 지배층 중에서도 왕실과 함께 문신을 중심으로 역사(歷史)를 서술한 것도 양자의 공통점이다. 『절요』는 전체 35권으로 된 편년체 사서이다.
3. 체재, 내용 및 역사(歷史)인식
『고려사』는 세가(世家) 46권, 열전(列傳) 50권, 지(志) 39권, 연표(年表) 2권 그리고 목록(目錄) 2권의 모두 139권으로 구성된 기전체 사서이다. 두 사서는 그러한 점에서 공통적으로 고려전기를 왕조가 흥성한 긍정적 시기로 평가하고, 후기를 왕조가 쇠망으로 이르는 부정적 시기로 평가하였다. 『절요』의 편찬자들도 역시 춘추관을 담당기구로 하는 조직을 구성하였고, 그 편찬자들의 대표는 김종서였다. …(省略)



고려사&고려사절요에 대한 글입니다. 『고려사』에는 세종이 주장했던 직서주의, 기록보전주의 등의 원칙이 반영되었다. 역사(歷史)의 서술대상은 왕실과 지배층이 중심이 된 왕조였고, 그 왕조의 흥망과정이 주된 관심사였다.
설명
고려사&고려사절요에 대한 글입니다. 『고려사』의 경우는 세종이 큰 影響을 주었다. 반면 세종 사후에 착수된 『절요』는 김종서 등 편찬에 참여한 신료들의 역사(歷史)인식이 크게 반영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아 그 당시 김종서는 정치적으로도 실권을 잡고 있었던 상태였기 때문에 文化(문화)전통에 대한 비판강화, 여말정치사를 개국공신쪽에 비중을 둔 서술, 재상중심의 정치를 옹호하는 경향을 가졌다.
『고려사』와『절요』의 편찬자들은 편찬시기가 단기간 내에 바로 접속되어 있고, 둘 모두 춘추관이라는 기구를 통해 편찬이 진행되었기 때문에 많이 중복이 되었다.고려사와고려사절요 , 고려사 고려사절요인문사회레포트 ,
순서
고려사 고려사절요
레포트/인문사회
고려사와고려사절요
,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고려사 고려사절요.hwp( 79 )
다.